ios 6

팀프로젝트) 팀원소개앱 만들기

오늘은 처음으로 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간단한 팀원 소개 어플을 만드는 것이었다. 사전캠프 강의에서 가르쳐준UITableVIew 와 NavigationView를 스토리보드를 이용하여리스트에 있는 프로필을 터치하면 상세정보가 나오는 어플을 만들기로 했다. 사실 지금 만든 프로젝트는 컴포넌트나 스타일등을 inspectors tap에서 설정했기 떄문에어플이 어떻게 동작하고 어떻게 연결했는지 말로 풀어서 설명 해야될거 같다.나중에는 코드로만 작성된 프로젝트로 바꿔봐야겠다.  일단 메인 스토리보드는 네이게이션 컨트롤러와 메인뷰 하나로구성돼있다.자세히 버튼에는 세그를 연결하여 지정해놓은 스토리보드로 이동하게끔 했다. 왜 이렇게 했냐면 처음 하는 프로젝트이다 보니까 분량이 많지 않아 6명이 나누기에는 곤란한 양이었..

Xcode 2024.05.28

Swift) 고차함수 map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가 다른사람들이 푼 답들을 보면 for 문 대신 map, reduce, filter 등을 쓰는것을 보았다.궁금해서 찾아 보았지만 클로저, 함수 등 기본적인 개념을 알아야 잘 쓸수 있을거 같았다. 그래서 클로저와 함수를 간단히 훑고 나서 지금에서야 글을 쓴다. map 기본 형태array.map(transform: T throws -> T) 이 코드는 Swift 언어에서 사용하는 형태의 코드로 보입니다. 이 코드는 배열(array)의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변환(transform) 클로저를 실행하고, 그 변환 결과를 새로운 배열로 반환하는 메소드입니다. 여기서 `map` 메소드는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변환을 적용하는 함수입니다. 이 때 `transform`은 배열의 요소를 인자로 받아 ..

Swift 2024.05.09

Swift) 클로저 Closure

오늘은 함수를 이어서 클로저를 정리 해볼까 한다. 클로저란? 보통은 익명함수를 말한다. (Unnamed Closure)하지만 평소에 쓰는 func name 이 붙은 함수도 클로저라고 한다. (Named Closure)func function() { //함수 print("Named Closure")}let closure = { print("Unnamed Closure") } //클로저 클로저 기본 형식{(파라미터) -> 리턴타입 in 실행할 코드}ex){(text: String) -> Int in return text.count}{() -> () print("안녕하세요")} Argument Label 을 사용하지 않는다.let closure = {(text: String) -> Int in retur..

Swift 2024.05.09

Swift) 기본 연산자

아직 블로그 작성 하는것이 익숙하지 않고 블로그 레이아웃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모르겠다...아마 당분간은 레이아웃이 천차만별일거 같다. 오늘은 기초부터 탄탄히 하기위해 스위프트에서 쓰이는 기본 연산자를 정리해 볼까 한다. 연산자연산자는 데이터를 비교, 계산등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호를 말한다. 산술연산자덧셈, 뺄셈, 나눗셈, 곱셈 등이 있을거 같다.기호뜻예시+값 더하기, 문자열 붙이기A+B, "A"+"B"-값 빼기A-B, 10-3/값 나누기A/B, 8/3%값 나머지A%B, 6%5*값 곱하기A*B, 4*3 여기서 나누기연산자(/)는 Int(정수형) 끼리 연산을 하면 소수점은 표출하지 않는다.소수점 까지 보여주고 싶다면 자료형을 Double로 지정해야 한다.func division() -> Int { ..

Swift 2024.05.01

Swift) 옵셔널(Optional)

알고리즘 문제를 풀던도중 다른사람들 코드에 느낌표(!) 가 많이 보였다.이게 뭔지 궁금해서 찾아보던중 스위프트는 옵셔널 타입이란 타입이 존재 하는것을 알게 되었다. 옵셔널이란?nil(값이 없음) 이란 값을 가질수 있는 타입이라고 한다.오류대신 nil 을 반환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인다고 한다. 일반적인 자료형에 nil 이란 값을 넣으려고 하면 오류가 난다.옵셔널 타입을 선언하는 방법은 타입 뒤에 물음표(?) 를 붙여 주면 된다.var nonOptioanl: String nonOptional = nil //오류var optional: String?optional = nil //오류 안남옵셔널 사용법String 이라도 옵셔널인지 아닌지에 따라 다른 타입이 된다.선언 후 타입을 출력해보면 알수 있다.var non..

Swift 2024.04.29

Swift) var 와 let의 차이

보통 let은 상수를 선언할때, var는 변수를 선언 할때 사용한다. let상수란 변하지 않는 값이다.한번 결정되면 변하지 않는 값을 선언 할때 사용하면 좋다.사람으로 따지면 성별같이 변하지 않는 값이다. let 특징한번 할당된 값을 변경할수 없다.실행속도가 빨라진다.var변수란 변하는 값이다.사람으로 따지면 나이같이 변하는 값이다.let 보다는 다루기 까다롭지 않아 많이 사용하지만 남발하면 문제가 될거 같다. var 특징한번 할당된 값을 변경할수 있다.실행속도가 let에 비해 느리다.재선언

Swift 2024.04.25